베트남 부동산 투자 한국인도 가능한가요?
- 전문 분야
- 2020. 9. 30.
코로나19가 확산되기 전에는 한국에서도 베트남 아파트 투자 붐이 일었지만 코로나19는 베트남 관광과 부동산 시장을 얼어붙게 했습니다.
1.베트남 아파트 시장은?
베트남은 30대 이하 젊은 층이 전체 인구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고 이들의 소득이 증가하면서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의 여파로 항공 길이 막히고 관광 수요가 사라지면서 베트남에 체류하던 주재원 일부가 본국으로 돌아가자, 높은 월세를 지지하던 많은 변수가 일시에 사라졌습니다.
한편 2020년 하노이의 아파트 및 단독주택 가격은 전 분기에 비해 하락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베트남 부동산컨설팅 회사 사빌스의 보고서)
2. 외국인도 베트남 부동산에 투자할 수 있나요?
베트남은 2015년 ‘베트남에 입국할 수 있는 비자를 가진 개인’의 아파트 구매를 허용하였습니다.
하지만 외국인이 모든 주택이나 상가 등을 직접 구입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외국인은 ‘상업용, 주거용 주택공급 프로젝트 구역 내에 지어지는 아파트, 빌라, 타운하우스, 주택’만 구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로젝트 중에서도 국방, 외교 등과 관련되거나 주요 공공기관 부근의 분양에서는 외국인에 대한 판매가 허가되지 않습니다.
게다가 외국인 판매 허가를 받은 분양 단지에서도 ‘총분양 호수의 30% 범위’에서만 외국인에게 판매가 가능합니다.
만약 외국인이 신규 프로젝트에서 분양받지 못했을 경우에는 외국인 분양을 받은 외국인에게서만 주택을 매수할 수 있습니다.
한편 외국인이 아파트를 구매하더라도 소유권이 영구적인 것이 아니고 50년으로 제한됩니다.
3. 외국인이 베트남 아파트를 사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신규 분양 받는 경우
입국 비자를 받은 여권만 소지하면 됩니다.
아파트 매입은 베트남동화(VND)로 해야 하는데, 현금으로도 살 수 있고 송금할 수도 있습니다.
분양받는 경우에는 분양계약서에 서명한 뒤, 통상 계약금으로 1억 동에서 2억 동(한화로 500만~1,000만 원)정도 납입한 후 분양대금 납입 계획에 따라 중도금을 납입하고, 아파트 소유권증서, 핑크북‘발급 시 잔금의 5%를 최종 납입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 다른 외국인으로부터 아파트 매수하는 경우
매매계약서를 작성하고 공증 사무소에서 계약서 공증을 거쳐 매도인이 거래세를 납부한 후 소유자 명의 변경을 신청해 신규 소유자 명의의 소유권증서를 발급 받습니다.
'전문 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이나 플랫폼 - 타오바오 & 차이니아오 (0) | 2021.02.11 |
---|---|
주택청약 1순위 조건 - 민영주택 (1) | 2020.10.01 |
투기과열지구, 청약과열지역, 조정대상지역은 무엇인가요? (1) | 2020.10.01 |
주택청약시 주의사항 - 입주자모집공고일 (0) | 2020.09.29 |
금리와 물가, 주가와의 관계는? (0) | 2020.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