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관세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서류인 원산지 증명서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원산지 증명서를 어떻게 발급 받아야 하는지부터 알아 볼까요? 1. 원산지 증명서 해외 소싱에서는 기본세율, wto 세율, fta 세율과 같이 몇 가지 관세를 주로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wto 세율보다 fta 세율이 더 낮은 편입니다. 하지만 wto가 더 낮은 세율인 경우에는 통관 시 wto 세율을 적용할 것을 요청하면 됩니다. fta 세율을 적용해서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협정 국가에서 수입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합니다. 이를 증명하는 서류가 바로 원산지 증명서(co)입니다. fta는 원산지 증명서를 꼭 제출해야 하지만 wto 세율은 원산지 증명서가 없어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원산지 증명서를 발..
이번 글에서는 무역 용어 중 인코텀즈(incoterms)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혹시 해외 쇼핑몰에서 b2b 사업을 하려는 분들에게는 많은 도움이 되는 정보일 것 같습니다. 인코텀즈는 상품을 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책임과 운송 비용, 업무의 부담 주최에 따라 총 11가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그 중에서 해외 소싱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DAP, EXW, FOB 조건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인코텀즈 – dap dap는 delivered at place의 약자입니다. 수출자인 공급자가 해당 목적지까지 운송하는데 발생하는 모든 비용 및 위험을 부담하지만, 수입 통관 의무는 없습니다. 바이어의 창고까지 운송하는데 발생하는 비용과 위험을 모두 공급자가 책임지는..
요즘 온라인 유통업이 직장인 부업의 화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런데 국내 도매몰에서 소싱을 해서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해외 제조사와 직접 컨택을 해서 상품을 소싱하는 방법을 추천 합니다. 물론 마진은 높지만 더 번거로운 작업이 될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외 상품 소싱을 할때 제조사를 찾는 방법을 자세히 알려 드리겠습니다. 1. 해외 상품 소싱 - 제조사 찾는법 첫 번째 방법은 박람회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국내에도 다양한 소싱 박람회, 디자인 페어, 리빙 박람회, 반려동물 박람회 등 다양한 박람회가 열리고, 여기서 제품을 살펴본 후 제조사에 직접 제작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 해외 박람회로는 제조사들이 가장 많이 참여한다는 중국의 ‘캔톤 페어’가 있습니다. 캔톤 페어에서는 중국뿐만 아니라 다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