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와 물가, 주가와의 관계는?

1.금리란 무엇인가?

금리는 빌려준 돈에 대한 이자나 빌릴 때 내야 하는 사용료, 즉 이자를 말합니다.

은행에 예금이나 적금을 하는 입장에서는 금리를 올리는 것이 좋고, 은행을 통해 돈을 빌리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금리를 내리는 것이 좋습니다.

 

금리가 오르는 사이클에서 개인은 저축을 많이 하지만, 역으로 개인이 아닌 대출을 받고 있는 기업은 금리상승으로 인해서 대출비용이 상승합니다.

이는 곧 기업이 대출을 받아서 공장이나 생산량을 확장하고, 곧 고용으로 가는 기업의 투자형태가 더 이상 늘어나지 않고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반면 개인은 은행의 이자가 높아서 소비를 줄이고 은행에 저축과 예금을 합니다.시중의 돈이 돌지 않고 은행에 묶이게 되면서 수요가 줄어들고 경기불황이 발생합니다.

2. 금리와 물가는 어떤 관계인가요?

금리가 상승하면서 소비가 침체되면 물가가 하락합니다.

이런 형상을 디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디플레이션이 예측될 때에는 금리를 내려 시중에 돈이 돌게 합니다.

 

반면 경기불황에서 수입 원자재의 가격이 상승하면 물가가 상승하는 경우도 발생하는데, 이를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3. 금리와 주가는 어떤 관계인가요?

금리는 기본적으로 주가, 채권, 부동산과 반비례의 관계입니다.

 

기준금리가 내려가고 은행의 금리가 떨어지면 은행에 있던 돈은 채권 투자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렇게 채권을 통해 어느 정도의 수익을 올리면 채권을 매도하고 부동산 규제를 지켜본 후 부동산으로 옮겨 탑니다.

 

그러다가 부동산 규제가 다시 시작되면 주식 시장으로 자금이 이동합니다.

 

은행의 금리가 올라가는 상승 시기에는 사람들이 주식 시장에서 돈을 빼서 은행에 예치하기 시작하고, 이때 주식 시장은 하락합니다.

 

 

4. 투자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

금리 하락기에는 부동산을 사서 보유하다가 금리 상승기가 도래하면 매도해서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다가 금리가 정점으로 치닫게 될 때는 보유하고 있는 주식은 처분하고, 높은 금리의 은행 예금상품으로 자산을 보유해야 합니다.

 

이러한 기본적인 투자구조 속에서 국가의 경제성장률이라는 데이터를 접목해서 주식 시장을 예측해야 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