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코텀즈 dap exw fob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이번 글에서는 무역 용어 중 인코텀즈(incoterms)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혹시 해외 쇼핑몰에서 b2b 사업을 하려는 분들에게는 많은 도움이 되는 정보일 것 같습니다. 인코텀즈는 상품을 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책임과 운송 비용, 업무의 부담 주최에 따라 총 11가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그 중에서 해외 소싱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DAP, EXW, FOB 조건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인코텀즈 dap

dapdelivered at place의 약자입니다. 수출자인 공급자가 해당 목적지까지 운송하는데 발생하는 모든 비용 및 위험을 부담하지만, 수입 통관 의무는 없습니다. 바이어의 창고까지 운송하는데 발생하는 비용과 위험을 모두 공급자가 책임지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공급자는 모든 위험에 대한 책임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해외 소싱에서는 이 조건으로 거래하는 경우가 굉장히 드뭅니다. 바이어 또한 이 조건으로 진행할 경우 스케줄 컨트롤이 어렵기 때문에 이 조건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2. 인코텀즈 exw

exwex-work의 약자입니다. 화물이 해당 목적지까지 운송하는데 발생하는 모든 비용 및 위험을 수입자인 바이어가 부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제조 공장에서 화물을 픽업하는 것부터 창고에 입고하는 것까지 모두 바이어가 책임지고 물류 업무, 수출입 업무, 비용 및 위험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을 말합니다.

 

인코텀즈

 

보통 구매 대행이나 중국 내수 플랫폼(1688, 타오바오 등)에서 물건을 구매할 때 이 조건을 사용합니다. 해외 무역에 초점을 맞춰서 진행하는 플랫폼이 아니기 때문에 수출입 서류에 대해서도 소통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3. 인코텀즈 fob

fobfree on board의 약자입니다. 수입자인 바이어가 본선(보통 컨테이너 선박)에 실은 이후부터 모든 비용과 위험 부담을 가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fob에서는 해상 운임부터 바이어가 지불하게 됩니다. 공급자는 해당 국가에서 발생하는 운송 비용과 본선에 싣는 순간까지 위험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입니다.

각각의 국가에서 발생하는 비용과 위험에 대한 책임을 공급자와 바이어가 각각 가지는 것으로 해외 소싱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코텀즈 조건입니다. fob 조건으로 진행 시 공급자는 제조 공장에서 가장 가까운 항구를 이용하고 싶어 합니다. 보통은 상하이항과 닝보항을 많이 사용합니다.

 

인코텀즈

 

선박에 실린 화물은 중국 항구에서 출항해서 한국 항구로 이동합니다. 도착 항구에서는 보세 창고에 화물을 옮긴 후 수입 통관을 진행합니다. 통관까지 마무리되면, 바이어의 물류 창고까지 픽업 트럭으로 이동합니다.

해외 제조 공장에서 한국의 물류 창고까지의 운송 과정에서 상하차를 여러 번 하게 되는데, 그 과정마다 상품의 파손, 분실 등 다양한 위험과 비용이 발생합니다. 이에 대한 책임을 미리 무역 조건으로 정해두는 것이 인코텀즈입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