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etf란 추천 세금 자세히 알려 드립니다.
- 투자 일기
- 2021. 10. 14.
안녕하세요. 요즘 국내 주식 투자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저는 쫄보 성향이 강해서 변동성이 큰 코인이나 개별 주식에는 투자하기 어렵 더라구요. 그래서 상대적으로 안전해 보이는 ETF에 투자하는 것이 끌려서 관련 내용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공부해 보니까 국내 코스피, 코스닥 주식 시장에도 상장되어 있는 ETF 종류가 참 많더라구요. 이번 글에서는 국내 ETF에 대해 자세히 알려 드리겠습니다.
1. 국내 ETF란?
국내 ETF는 주식형과 기타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주식형의 기초지수는 국내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 종목이고 기타형의 기초지수는 국내 주식종목이 아닌 채권, 원자재, 해외시장, 파생상품(선물)등입니다. 쉽게 말해 주식형과 주식형이 아닌 것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주식형인지 여부는 네이버에 해당 ETF명을 입력하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국내주식형 ETF는 매매차익에 대해 비과세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국내주식은 대주주가 아니면 매매차익에 대해 비과세이기 때문에 국내주식형 ETF도 비과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내주식형 ETF의 매매차익도 종합소득과세대상에서 제외 됩니다.
한편 국내기타형 ETF는 매매차익에 대해 세금을 냅니다. 2000만원까지는 15.4%의 단일과세이며 그 이상은 종합과세 됩니다.(다른 소득과 합산해서 세금을 매긴다는 뜻!) 이자, 배당 등과 합친 금융소득이 2,000만원을 넘는 경우에는 종합과세 대상이 됩니다. 세금 측면에서 봤을때는 국내 주식형 ETF가 기타형 ETF에 비해 나은 선택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국내 ETF 세금
국내주식형 ETF와 기타형 ETF 모두 개별 주식과 달리, 증권거래세(농어촌특별세 포함)가 면제됩니다. 증권거래세는 주식 매도시점에만 한번 내는데 ETF는 증권거래세를 면제해 주기 때문에 매력적인 투자처라고 볼 수 있습니다.(증권거래세는 2021년 기준 0.23%이며 2023년부터 0.15%입니다.)
또한 국내주식형, 기타형 ETF의 분배금(배당)은 15.4%의 배당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위에서 국내 주식형 ETF의 경우 매매차익에 대해 비과세라고 말씀 드렸습니다만 배당에 대해서는 세금을 내야 합니다. 그리고 ETF의 분배금도 금융소득 합산 2,000만원이 넘으면 15.4%보다 많은 금액이 금융소득 종합과세됩니다.(다른 소득과 합산해서 세금을 매긴다는 뜻!)
국내기타형 ETF의 경우 매매차익에 세금을 낸다고 말씀 드렸는데요. 바로 15.4%의 세율이 부과되는 것이 아닙니다. 국내기타형 ETF는 국내주식형과는 달리 보유기간 과세 원칙입니다. 보유한 기간 중 발생한 이익에 대해 세금을 부과합니다. 따라서 보유기간에 따라 세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해외주식시장에 상장된 ETF와 비교해도 국내주식형 ETF가 절세 면에서는 가장 유리합니다. 매매차익이 얼마든 전혀 세금을 낼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투자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나코인 전망 시세 테라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1) | 2022.01.07 |
---|---|
솔라나 코인 전망 시세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1) | 2022.01.07 |
ISA란 계좌 통장 자세히 알려 드립니다. (0) | 2021.10.13 |
[미국주식] 제너럴모터스 주가 전망 분석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0) | 2021.08.10 |
[미국주식] 홈디포 기업 소개 분석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0) | 2021.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