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란 계좌 통장 자세히 알려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직장인, 자영업자 여러분들의 계좌에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가지고 왔습니다. 우리가 가입할 수 있는 계좌 중에 투자 수익도 얻으면서 절세효과까지 얻을 수 있는 상품이 있다는 사실 알고 있으셨나요? 바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라고 하는 ISA 계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ISA란 무엇인지 그리고 ISA 계좌를 통해서 할 수 있는 투자에 대해 자세히 알려 드리겠습니다.

먼저 ISA란 무엇인지부터 알아 볼까요?

1. ISA

ISA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라고 하며 중개형, 신탁형, 일임형으로 나누어 집니다. 이 중에서 주식투자를 할 수 있는 ISA2021년부터 도입된 중개형입니다. 중개형 ISA19세 이상이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고 근로소득자는 15세 이상의 거주자면 됩니다. , 직전 3개년 금융소득이 2,000만원이 넘어 종합과세대상자가 된 사람은 가입할 수 없습니다.

금융소득이 2,000만원이 넘어 갈려면 배당주에 몰빵을 해도 최소 4억 이상을 배당주에 투자 하셔야 할테니 금융소득으로 제외되는 분들이 많지는 않으실 것 같습니다.

 

isa

 

ISA는 증권사, 은행 중 한 곳에서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특이한 점으로 의무가입기간이 있습니다. 2021년 가입분부터 3년간으로, 최대 5년간 불입할 수 있습니다. 서민형은 근로소득 5,000만 원, 종합소득 3,500만 원 이하, 농어민 등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ISA의 저축한도는 연간 2,000만 원씩 5년간 최대 1억 원입니다. 저축 한도는 해를 넘겨 이월도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예를 들어 제가 4년 동안 3,000만 원을 입금 했으면 5년차에 7,000만 원을 입금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ISA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 보았습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인 ISA 계좌의 장점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2. ISA 계좌 장점

ISA 계좌로 투자하기 좋은 상품은 바로 ETF입니다. ETF로 받은 분배금(배당)과 기타형 ETF 매매차익을 200만원(서민형은 400만원)까지 절세할 수 있습니다. ISA계좌는 만기 또는 해지시점에 계좌 내 상품 간 손익을 통산합니다. 통산 후 순소득에 대해 200만원(서민형 400만원)까지 비과세입니다.

만약 200만원이 초과한다면 초과액은 9.9%로 분리과세 됩니다. 납입 이후 의무가입기간 3년이 지난 시점에서 비과세 금액 200만원(서민형 400만원)을 충족하면 해약하고 다시 재가입하는 것이 절세면에서 더 유리 합니다.

 

isa

 

한편 ISA 계좌는 만기시점에 연금계좌로 이전할 수도 있습니다. ISA계좌 연금이전으로 연금의 장점인 연금수령시점까지 과세이연, 연금으로 인출 시 저율 과세 효과를 얻게 됩니다. 만기일로부터 60일 이내에만 전환 신청이 가능하다는 것을 꼭 염두해 두시기 바랍니다!

연금계좌로 전환하는 금액만큼 연금의 연간 한도인 1,800만원에 추가해서 납입한도를 늘려 줍니다. 계약 후 3년이 지나면 만기 전이라도 연금계좌로 이체할 수 있습니다. 전환액 중 10%는 최대 3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해 줍니다.

2023년부터 ISA계좌에서 상장주식과 공모 주식형 펀드에 투자해 얻은 수익에 대해서는 전액 비과세 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2023년부터 5,000만원이 넘는 금융투자 소득에 대해서는 22%(3억 초과 25%) 세율로 과세합니다. 따라서 2023년 부터는 아주 강력한 절세상품이 될 것입니다.

매년 5,000만원 이상의 투자수익이 예상될 때 ISA계좌를 해지하지 않고 계속 보유하면 비과세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까지 ISA 계좌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았습니다.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장점이 극대화 하는만큼 가입하지 않을 이유가 없는 상품인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