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형 퇴직 irp 추천 세액공제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 전문 분야
- 2023. 7. 12.
이번 글에서는 개인형 퇴직연금이라고 불리는 irp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irp를 가입했을 때 어떤 혜택이 있는 걸까요? IRP는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의 약자입니다. 퇴직연금의 종류로 개인 퇴직연금이라고 불립니다.
irp는 연금저축과 유사한 제도인데 최대 연 700만 원까지 세액 공제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퇴직연금 상품이 모두 그런 것처럼 700만원 중 주식형 상품에는 평가금액 기준 70%까지만 투자할 수 있습니다.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펀드나 채권, 예적금, 보험 상품에 30% 의무적으로 투자해야 합니다.
IRP를 이용하는 경우 증권사마다 조금씩은 다르지만 0.1 ~ 0.3% 정도 수수료가 발생 합니다. 최근에는 삼성증권 IRP의 수수료 면제를 시작으로 수수료가 점점 사라질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연금저축과 비교를 해보면 연금저축 계좌는 IRP 대비 별도의 계좌 수수료가 없고, 안전자산에 대한 의무투자 비중도 없습니다. 그래서 400만원 세액공제 한도 범위까지 주식형 상품인 ETF를 100% 매수할 수도 있습니다.
고소득 직장인이라면 연금저축과 IRP를 모두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연금저축펀드 계좌로는 400만원 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고, IRP계좌는 최대 700만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그래서 두 계좌 모두 가입을 해서 11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으려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게 가능할까요?
아쉽게도 중복해서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는 없습니다. 그러니까 연금저축과 IRP 계좌를 합산해서 700만원까지만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만약 세금을 많이 내는 고소득 직장인이라면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통해서 400만원까지 납입을 하고 IRP계좌에 300만원을 입금해서 70%는 ETF를 30%는 안전자산을 매수하면 좋습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IRP는 채권, 예적금, 보험상품 같은 안전자산에 30%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합니다. 하지만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펀드 중에서 주식 비중이 높은 상품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TDF2040, TDF2050(은퇴시점 연도별 상품)로 시작하는 상품에 투자하면 주식 비중을 최대로 가져갈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연금저축펀드 계좌로 400만원어치 ETF를 사고, IRP로는 70% ETF를 사면 최대한 하이 리턴을 노리는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55세 이전에 결혼이나 부동산 매입, 자녀학자금 등으로 중간중간 목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너무 무리해서 중도에 해지하는 것보다는 내 수입과 소비를 고려해서 IRP 계좌를 활용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전문 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 주식 가격 전망 분석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0) | 2023.07.21 |
---|---|
리얼티인컴 미국 부동산 etf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0) | 2023.07.16 |
운전자보험이란 필요성 가입 추천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0) | 2022.07.31 |
청약통장 만드는법 예치금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0) | 2022.07.03 |
의료기기 산업 규제 시스템 자세히 알려 드립니다. (0) | 2022.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