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휴수당 지급기준 계산법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르바이트 직원을 쓰는 사장님들, 자영업자 분들이 항상 골치 아픈 문제가 있죠? 바로 주휴수당입니다. 도대체 주휴수당이란 무엇인지, 얼마나 줘야 하는지, 언제 줘야 하는 것이지 너무나도 복잡하고 어렵지 않으신가요? 이번 글에서는 주휴수당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휴수당 이란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고용주와 약속한 근무 일수를 채울 경우에는 주휴수당을 줘야 합니다.(아르바이트 직원에게 해당) 예를 들어 일주일에 주말 토요일, 일요일 합쳐서 17시간 일한 알바생이 있다면 주휴수당을 따로 지급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렇다면 주휴수당은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 걸까요?

2. 주휴수당 계산법

만약 아르바이트생이 하루 5시간씩 5일을 근무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러면 1주일에 25시간을 근무한 것입니다. 그런데 주휴수당은 여기에 120%를 더 주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것을 흔히 하루치를 더 준다고 이야기 합니다.

 

주휴수당

 

그렇다면 25시간에 1.2를 곱하면 30시간이 되겠죠? 그런데 30시간은 일주일 치고, 여기에 한 달을 더하면 됩니다. 그런데 한 달은 4주가 아니라 4.3452를 곱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1달이 4주인 경우도 있고 5주인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30시간에 4.3452를 곱하면 130시간입니다. 여기에 시급을 곱하면 한 달 급여가 나옵니다.

그런데 여기서 조심하셔야 할 점이 있습니다. 바로 주휴수당에 대한 부분을 근로계약서에 꼭 명시하셔야 한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주휴수당은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한 경우에 줘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대로 15시간 밑으로 근무를 하게 되면 안 줘도 되는 것입니다.

3. 주휴수당 계산기 실전 적용

위에 설명이 잘 이해가 안 가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보통 사장님들이 고용하는 18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1일에 8시간을 근무하고 일주일에 5일을 일하는 경우에는 주 40시간을 일하게 됩니다. 여기에 주휴수당 포함 120%를 곱하면 48시간이라는 일주일 근무 시간이 나오게 됩니다.

 

주휴수당

 

이렇게 나온 48시간에 4.3452를 곱하면 208.56의 한달 근무시간이 나옵니다. 209시간에 최저시급을 곱하면 나오는 금액이 바로 법적으로 정해놓은 최저시급과 주휴수당이 되는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업자, 자영업자 사장님들을 위해 주휴수당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 보았습니다. 저도 곧 사업을 시작하게 될 입장에서 이번에 공부를 하면서 많은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주휴수당 이슈는 정말 제대로 공부하지 않으면 알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이번 글을 계기로 많은 분들이 제대로 알게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